한인 해외이주여성들의 마음 돌봄을 응원하는 테이크루트입니다.
해외이주의 경험을 공유하며, 마음을 가꾸는 일에 진심이고, 성장에 가치를 두는 당신🌱
오늘도 마음먹고 살림*!
*살림: 나를 살리는 모든 경험
|
|
|
매월 1일(미국 서부시) 그리고 15일에 만나요. |
|
|
누구나 나다움을 찾아 떠나는 길에 망설임이 없도록 마음돌봄 팁과 정착생활 지원을 위한 행사들을 소개해 드려요. 매월 1일 그리고 15일, 메일함을 확인하세요! |
|
|
이주를 앞둔 마음부터 이주 후의 마음까지. 테이크루트와 함께라면 해외이주의 경험이 조금 더 수월하고 편안해질 수 있습니다. 매달 제공되는 마음돌봄 교육 서비스와 다양한 정착지원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어제보다 더 안정된 나를 만나보세요. |
|
|
운동 | 2025.11.7 금요일 10PM <나를 바꾸는 시간> 온라인 시작 모임(추가 편성) 자세히 보기 및 신청하기
|
|
|
마음돌봄 | 2025.12.11 목요일 9PM <Bridge the Wives II> by 더 나일 이다랑 대표 자세히 보기 및 신청하기 |
|
|
이유 1 | <마음먹고 시리즈>가 시작됩니다.
이유 2 | 당신의 살림에 주목합니다.
이유 3 | 전자책부터 종이책까지 출판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이유 4 | <제 3회 한인 해외이주여성 포럼> 날짜가 확정되었습니다.
2026.2.28.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 Quinlan Community Center 🗓️
이유 5 | 대단한 협업이 펼쳐집니다. |
|
|
사진 설명: 11/8/2025 <테이크루트 X WiNG: 마음먹고 날다!> Jenny Lee 파이낸셜 전문가 오프라인 밋업 안내
|
|
|
[행사후기]
테이크루트의 프로젝트 10월 후기를 전합니다. |
|
|
후기: <TAKEROOT X WiNG: 마음먹고 날다!> Alex Hong HR 전문가_김영인
최근, 테이크루트와 WING이 공동 기획한 ‘마음먹고 날다!’ 시리즈 중 HR 전문가 알렉스 홍님의 <나다운 경력 설계: 조직을 넘어 나만의 브랜드 만들기> 웨비나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오프라인에서만 만나볼 수 있던 커리어 빌드업 밋업을 온라인에서 경험하며, 단순한 HR 실무에서 벗어나 HR 비즈니스 파트너의 시선으로 조직문화와 인재 전략을 폭넓게 조망해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여러 회사에서 경험한 조직문화와 이직의 순간, 그 안에서 얻은 인사이트와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알렉스님의 진솔한 이야기는 참석자 모두에게 많은 울림을 남겼습니다.
각기 다른 조직에서 배운 점, 인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그리고 자신의 브랜드를 설계하는 법 등 일과 성장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는 소중한 자리였습니다. 웨비나에서 알렉스 홍님은 커리어 전환기에 있는 이들에게 '이 길이 맞는지 고민하기보다는 정답 없는 여정에서도 보석을 찾듯, 걱정과 망설임 대신 긍정적인 마음으로 그 과정을 즐기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이민 후 경력 단절이나 이직의 기로에 선 이들에게는, 초심을 잃지 않는 헝그리정신으로 다시 시작하는 용기를 가져보라고 응원해 주었습니다.
미국에 정착한 이후, 익숙하지 않은 환경 속에서 무력감과 망설임이 자연스러웠던 저에게 '정답을 찾으려 애쓰지 않고, 정답이 없는 길 위에서도 스스로에게 믿음의 주문을 걸자'는 메시지는 스스로를 긍정하고, 매일 한 걸음씩 나아갈 수 있는 힘을 북돋아주었습니다. 웨비나를 마치고, 오늘부터는 하루 한 걸음이라도 나답게 걸으며 나만의 경력과 삶을 천천히 그려가고 싶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
|
|
[우리소식]
테이크루트의 프로젝트 소식을 전합니다. |
|
|
🌱<살림으로 뿌리내리다> 출판 프로젝트
테이크루트는 한인의 미국 이주 역사를 소개하는 것 뿐만아니라 북가주 지역내의 요리연구가, 요리애호가, 요리전문가 분들을 섭외하여 '나를 살린 음식 레시피'를 비롯하여 '간편하게 뽑내는 한국식 푸드 스타일링 기술'의 내용을 담은 출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챕터의 주인공은 세상에서 요리가 제일 즐겁다는 <장선용의 평생 요리책> 저자 장선용님입니다. 1973년 해외 이주 생활을 처음으로 시작하시고 1993년 미국으로 이주해 직접 장을 담그며 전통 한국의 맛을 이어오신 장선용님의 나를 살린 음식 이야기를 취재했습니다. 한번 먹으면 잊지 못한다는 그 음식의 맛을 정확한 계량으로 선보인 장선용님의 해외이주경험 이야기,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와 꼭 맞닿은 이번 이야기를 당신에게 전합니다. 가장 먼저 소식을 전해 듣고 싶으시다면 이번 프로젝트를 후원자(Suggested Donation: $25)가 되어주세요! 챕터에 푸릇님의 이름도 담아드릴 예정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한인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은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기록되며 여러편의 시리즈로 이어질 예정입니다.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아카이빙하고 새로운 곳에 정착을 꿈꾸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나아가 차세대들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실현될 예정입니다.
<살림으로 뿌리내리다> 출판 프로젝트 후원 안내
|
|
|
🎼<Melodique> 창단 연주
당신의 인생에서 가장 의미 있었던 순간은 언제인가요? 기쁨과 환희의 순간, 깊은 슬픔의 시간, 그리고 잊을 수 없는 아름다운 기억들. 만약 단 네 컷으로 당신의 삶을 담는다면, 어떤 ‘인생네컷’이 완성될까요?
멜로디크의 창단연주 “Life in Four Frames” 에서 다채로운 삶의 장면들을 음악으로 만나보세요.
📅11월 8일 (토) 오후 3시 📍산타클라라 대학교 리사이틀 홀
What are the four most meaningful moments in your life? Moments of joy, pain, beauty, and sorrow, all part of your story. If you could capture your life in just four frames, what would your “Life in Four Frames” look like?
Join Melodique for its inagural concert, Life in Four Frames, and experience the colorful chapters of life through music.
📅 Saturday, November 8 | 3:00 PM 📍 Santa Clara University Recital Hall
|
|
|
🎼<Creating Space> Mental Health Gathering
Creating Space is hosting a groundbreaking intergenerational mental health gathering on November 8th at the Asian Art Museum—specifically designed for AANHPI communities to transform how we discuss mental health and healing.
With the theme "Tending to the Child Within," we're honored to have award-winning journalist Lisa Ling as our host for this intimate, community-centered dialogue that brings together youth, parents, caregivers, and elders.
Our panel, led by Dr. Jenny T. Wang, PhD (renowned psychologist and author), features voices who've turned their healing into advocacy:
- Dave Lu | Managing Director, Hyphen Capital
- Ally Maki | Actress, Founder & CEO of Asian American Girl Club
- Ethan Su | Executive Director, AAPI Youth Rising
- Gym Tan | Content Creator
They'll explore how tending to their inner child has shaped their paths toward empowerment—addressing the very trauma and resilience themes that your organization champions. The interactive Q&A will help participants transform inherited patterns into sources of strength and purpose.
Event Details:
📅Saturday, November 8 | 1-4 PM
📍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Given TR's powerful voice in our community, your support would be invaluable in ensuring this historic mental health conversation reaches those who need it most—particularly those still processing collective trauma and seeking paths to healing.
|
|
|
테이크루트는 해외이주의 경험이 조금 더 수월하고 건강할 수 있도록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실명 오픈 채팅방을 운영중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세요. |
|
|
테이크루트는 당신의 성장 이야기를 귀기울여 듣습니다. |
|
|
한인 해외이주여성들의 이야기를 다양한 문화 예술적 방법을 통해 아카이브합니다.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 워크샵은 물론 미술, 연극, 음악을 통해 당신의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그리고 서로에게 든든한 롤모델이 되어 주세요. |
|
|
1,082,581
Ethnic Korean women reside in the U.S. (U.S. Census Bureau, 2020) |
|
|
3,703
of these women participated in |
|
|
440
in-person and virtual events hosted by TakeRoot, in collaboration with |
|
|
테이크루트에서 발행한 <2025년 11월 푸릇레터> 어떠셨나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호를 읽으면서 어떤 생각이 푸릇님께 머물렀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테이크루트에게 전할 말이 생겼다면 망설이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
|
|
TAKEROOT | 발행인: 안미정
www.takerootofficial.org
|
|
|
|
|